Skip to main content
스토리텔링으로 만나는 한의콘텐츠 기획 이미지

스토리텔링으로 만나는 한의콘텐츠 기획




본 강좌는 새로운 K-MOOC 플랫폼에서 운영하는 강좌입니다.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 수업내용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한의콘텐츠의 사례를 살펴보고, 스토리텔링 창작모델에따라한의자원을활용해나만의한의콘텐츠를기획해보는수업입니다. 서사학과 문화콘텐츠학적측면에서이야기의가치(storyvalue)를이해하고,스토리텔링에초점을맞추어한의콘텐츠를 살펴보며, 직접 한의콘텐츠를기획할수있도록구성하였습니다.

■ 학습목표
이 수업의 목표는 1) 서사학과 문화콘텐츠학적 측면에서이야기의가치를파악하고,스토리텔링에초점을맞추어한의콘텐츠사례를살펴보며, 스토리텔링 창작 모델에 따라나만의한의콘텐츠를창작하는수업입니다.
함께 수업하면서 문화산업의 근간으로 불리는 스토리와 스토리텔링의 힘을마주하고,문화콘텐츠에대한이해를높일수있습니다.또한의콘텐츠 기획에도 도전해 보시길 바랍니다.

홍보/예시 영상

강좌 운영 계획

 

 

주차

주차명

차시명

과제

1

이야기의 의미와 특성

이야기의 뿌리를 찾아서

 

이야기의 세 가지 특성

 

2

스토리와 플롯 그리고 서사

스토리의 구조

 

플롯과 서사

 

3

문화와 문화콘텐츠

문화와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산업이 주목하는 스토리의 힘

퀴즈

4

한의콘텐츠 사례연구1

스토리텔링과 역사인물

 

 

근현대 한의학 발전과 역사인물콘텐츠

5

한의콘텐츠 사례연구2

스토리텔링과 장소마케팅

 

약전골목의 스토리와 도전

퀴즈

6

한의콘텐츠 사례연구3

장소마케팅의 포인트

 

경동시장과 서울약령시의 스토리텔링

 

7

한의콘텐츠 사례연구4

전시콘텐츠의 개념과 의미

 

에코한방 웰빙체험관이 말하는 것

퀴즈

8

한의콘텐츠 사례연구5

축제와 스토리텔링

 

대구한방문화축제의 명암

 

중간시험

10

한의콘텐츠 사례연구6

테마파크의 개념과 의미

 

동의한방촌과 산청 한방테마공원

 

11

스토리텔링 창작연습1

기획의 개념

 

기획과 계획이 같고 다른 점

퀴즈

12

스토리텔링 창작연습2

매체와 스토리텔링

 

어떤 매체로 내 콘텐츠를 보여줄 것인가?

 

13

스토리텔링 창작연습3

스토리텔링의 구성요소

 

한방콘텐츠의 스토리텔링 구상하기

퀴즈

14

스토리텔링 창작연습4

스토리보드의 개념과 양식

 

한의콘텐츠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스토리보드 만들기

과제

기말시험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강민희 professor
강민희 교수
현) 대구한의대학교 기초교양대학 교수, 문학평론가, 스토리텔러
대구한의대학교 DHU문화콘텐츠센터 책임교원
대구한의대학교 미래산학융합본부 LINC+사업단 LINC+산학연계교육지원센터 책임교원

[학력] 단국대학교 문학사(예술대학 문예창작과)
단국대학교 문학석사(일반대학원 문예창작학과 문예이론)
단국대학교 문학박사(일반대학원 문예창작학과 문예이론)

[약력]
단국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과, 대구대학교 교양교육원 외래강사
단국대학교 부설 국제문예창작센터 사무국장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연구원
단국대학교 부설 디자인센터 연구원

[저서]
역사와 신화(공저, 대구한의대출판부, 2022)
디지털인문학(공저, 바른숲, 2019)
고전읽기-지금, 고전을 읽을 시간(바른숲, 2018)
소통하는 글쓰기(공저, 대구한의대출판부, 2017)
인문콘텐츠로 만나는 스토리텔링(대구한의대출판부, 2016)

[수상]
2020년 한국문예창작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2019년 광남일보 평론부문 당선(문학평론가)

강좌지원팀

김동혁 조교
김동혁 조교
현) 대구문예창작학원 원장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퀴즈 과제 중간고사 기말고사
반영비율 20% 20% 30% 30%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이 강좌는 여러가지 참고자료가 많이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교재는 따로 없고, 학습자료(PDF) 제공합니다.

강좌 수강 중 궁금한 점은 어떻게 하나요?

게시판에 질문을 남겨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제목

소제목

내용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Subject

    Humanities
    (Linguistics & Literature)
  2. 강좌 내용의 어려운 수준을 의미합니다. 교양, 전공기초, 전공심화 순으로 난이도가 증가합니다.

    Course difficulty

    beginner
  3.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Institution

    Daegu Haany University
  4.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Phone

    053-819-1194
  5.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Course Week
    (Estimated Effort)

    15week
    (주당 01시간 00분)
  6.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Accredited learning time
    (Video Duration)

    50시간 00분
    (50시간 00분)
  7.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Registration Period

    2023.03.31 ~ 2023.05.26
  8.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lasses Period

    2023.04.03 ~ 2023.05.26
  9. ※ 만족도 응답 표본 수 미달 등 일정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별점이 공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