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영화 스토리텔링의 이해 동영상

영화 스토리텔링의 이해




Enrollment is Closed

교과목 개요

영화는 현대 디지털 미디어에 적용되는 시각적 세계어를 만든 장르이다. 오늘날 모든 미디어들은 현실을 영화 카메라와 같은 프레임으로 바라보고 영화의 방식으로 편집해서 본다. 이러한 영화 방식으로 보기(Cinematic Way of Seeing)은 이야기 예술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본 강의는 첫째, 사진으로부터 영화에 이르는 매체 발전을 살펴봄으로써 이야기를 서술하는 새로운 방식, 즉 화면 내의 오브제 배치, 화면 구성과 움직임, 편집의 인터페이스를 이해한다.

둘째, 이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스토리텔링이 영화 1편을 이루는 계층구조, 즉 3막 8장, 16시퀀스, 35에피소드, 110장면, 1500쇼트 안에서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는지 디지털 스토리텔링 저작도구의 예시를 통해 이해한다.
본교(이화여대)가 개발한 <스토리 헬퍼>로 대표되는 저작도구는 영화 스토리텔링의 원리를 현대 컴퓨터 공학의 논리로 재해석함으로써 이제까지 주관적 확신 내지 경험칙에 머물렀던 영화 창작방법을 보다 객관적으로 검증하게 해준다.

셋째, 인터페이스 및 스토리 공학을 토대로 영화 스토리텔링의 모범적인 사례로 손꼽히는 5편의 명작, 즉 <반지의 제왕> <타이타닉> <유주얼 서스펙트> <브로크백 마운틴> <연인> 를 분석함으로써 현대 영화의 실제를 교수한다. 작품론의 영역에서 영화의 새로운 이야기 서술 방식이 구체적인 소재에 적용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창작상의 문제들과 최종적인 예술적 형상을 이해한다.

샘플 강좌

1주차 중: 스토리텔링의 개념

교과목 목표

영화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원리, 적용까지의 단계적 프로세스들을 익혀 심화된 매체 연구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쌓고 이를 실제 영화작품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영화 스토리텔링 방법론을 다양한 전공 환경에 맞춰 활용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강의 내용

  • 반지의 제왕 : 스토리텔링의 개념, J.R.R 톨킨, 플롯, 캐릭터라이징, 오브젝트
  • 타이타닉 : 모티프의 개념, 제임스 카메룬, 플롯, 캐릭터라이징, 비주얼라이징, 테마
  • 유주얼 서스펙트 : 디지털 스토리텔링, 브라이언 싱어, 제임스 맥쿼리, 플롯, 캐릭터라이징, 세팅, 시퀀스 분석
  • 연인 : 캐릭터의 개념, 마르그리트 뒤라스, 플롯, 캐릭터라이징, 시퀀스 분석, 테마
  • 브로크백 마운틴 :창작 과정에 대한 이론, 이안, 애니 프루, 플롯, 서사구조, 테마

주요교재 및 참고자료

이인화, 『 스토리텔링 진화론 』 (해냄, 2014)를 사전 이해로 하는 이론서들

권장 사항

영화 스토리텔링에서 다룰 5편의 영화 <반지의 제왕>, <타이타닉>, <연인>, <유주얼 서스펙트>, <브로크백 마운틴>을 먼저 감상한 후, 이 강좌를 수강하길 권장합니다.

담당 교수

류철균 교수 사진

이화여자대학교 영상콘텐츠전공/디지털미디어학부 류철균 교수
디지털스토리텔링연구소장

서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 계간 <문학과 사회>로 등단하여 89편의 문학평론을 발표했다.
1992년 제1회 작가세계문학상 수상작인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를 시작을 밀리언셀러를 기록한 [영원한 제국]을 비롯, [인간의 길][초원의 향기][시인의 별][하늘꽃][하비로][지옥설계도]등의 소설을 발표하여 추리소설 독자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한중청년학술상, 이상문학상 대상, 21세기문학상 우수상, 정보통신부장관 표창 등을 수상했다.
설치미술 <아슈켈론의 개>,창작 발레<신시21>,오페라 <눈물 많은 초인>, 경주문화엑스포 주제 동영상 <천마의 꿈>, <토우대장 차차>, MMORPG <Guild Wars> , 영화 <청연(靑燕)> 등의 시나리오를 썼다.
디지털 스토리텔링 저작도구인 <스토리헬퍼>를 엔씨 소프트사와 공동개발 하였으며, 모바일 게임 <핑거스톤>을 개발했다. 연구서로는 <이문열 연구>(편저), <디지털 스토리텔링>(공저), <한국형 디지털 스토리텔링>, <스토리텔링 진화론> 등이 있다.

운영자

이화여자대학교 MOOC센터
e-mail: ewhamooc@gmail.com
telephone: 02-3277-3404
수강에 대해 궁금하신 점 있으면 문의해주세요.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Subject

    Humanities
    (Linguistics & Literature)
  2.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Institution

    EWHA WOMANS UNIVERSITY
  3.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Phone

    02-3277-3921
  4.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Course Week
    (Estimated Effort)

    16week
    (주당 03시간 00분)
  5.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Accredited learning time
    (Video Duration)

    30시간 12분
    (28시간 09분)
  6.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Registration Period

    2016.08.09 ~ 2016.12.16
  7.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lasses Period

    2016.09.01 ~ 2016.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