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한국문화로 배우는 한국어 동영상

한국문화로 배우는 한국어




본 강좌는 새로운 K-MOOC 플랫폼에서 운영하는 강좌입니다.

강좌_소개

“한국과 한국 문화가 좋아요. 그래서 한국 문화에 대해 더 공부하고 싶어요.”



  이 강좌는 한국과 한국어, 한국 문화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을 위한 강좌입니다.

  이 강좌는 중급 수준의 학습자를 위한 강좌이며, 3급 수준의 학생들이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이 강좌에서는 한국 문화를 배우면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이것을 실생활에 적용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외국인들이 궁금해하는 한국 문화를 소개하고, 이와 관련된 어휘와 표현을 공부합니다. 배운 내용을 연습하고 실제 상황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지 같이 생각해 보는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한국어 언어 예절을 비롯해 속담, 관용표현, 대학 문화, 직장 문화, 결혼 문화, 여가 문화 등 다양한 문화적 측면을 다루고 있어 한국과 한국의 문화를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학습 목표

1. 한국의 여러 문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2. 문화와 관련된 언어 표현을 익히고 사용할 수 있다.

3. 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I like Korea and Korean culture. This is why I wanted to get deeper in learning Korean Culture.




  This course is designed for foreigners who are interested in Korea,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This course is not difficult for level 3 students to learn, and best suited for intermediate level learners. It is originally designed to be practically used in everyday conversation while learning Korean culture.

  It introduces Korean culture that foreigners are curious about, and studies everyday use vocabulary and basic expressions. This course also consist of practicing what you have learned and brainstorming together to prepare for real life situations. This course not only covers Korean language, it also covers various culture aspects such as Korean culture, etiquette, proverbs, idiomatic expressions, university culture, work culture, marriage culture, and leisure culture and many more, therefore, students can understand Korea and its culture in depth. 


Lesson Goal


1. Able to explain various cultural phenomena in Korea.

2. Able to learn and use language expressions related to Korean culture.

3. Able to communicate on various topics related to Korean culture.






강의_일정

주차 주차명 학습목표 차시 차시명 과제 교안
1 한국인의 언어 예절
(Etiquette)
높임법을 사용하는 한국의 문화를 설명할 수 있다. 1 높임말과 반말의 사용 상황 이해 퀴즈 PDF
2 높임말과 반말에 사용되는 어휘 및 표현 익히기 퀴즈
3 다양한 상황에서 높임말 반말 적절하게 사용하기 토론
2 속담에 나타난 한국인의 정서
(Proverb)
속담에 나타난 한국인의 정서를 설명할 수 있다. 1 속담이 사용된 상황 이해 퀴즈 PDF
2 속담의 의미와 연관된 어휘 및 표현 익히기 퀴즈
3 배운 속담 적절한 상황에서 사용하기 토론
3 관용 표현에 나타난 한국 언어 문화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Idiomatic expression)
관용 표현에 나타난 한국 언어 문화의 정서를 설명할 수 있다. 1 관용 표현이 사용된 상황 이해 퀴즈 PDF
2 관용표현 의미와 연관된 어휘 및 표현 익히기 퀴즈
3 배운 관용 표현 적절한 상화에서 사용하기 토론
4 한국인의 호칭과 의사소통
(Appellation)
한국인의 호칭 문화를 설명할 수 있다. 1 호칭을 통한 한국인의 의사소통 방식 이해하기 퀴즈 PDF
2 호칭 문화와 관련된 어휘 및 표현 익히기 퀴즈
3 상황에 따른 적절한 호칭 이야기하기 토론
5 한국의 음식 문화
(Food culture)
한국 음식 문화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식사할 때의 예절 이해하기 퀴즈 PDF
2 음식 문화 관련 어휘 및 표현 익히기 퀴즈
3 배운 음식 문화 관련 표현을 적절한 상황에서 사용하기 토론
6 한국의 결혼 문화
(Marriage culture)
한국의 결혼 문화에 담긴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한국의 결혼 문화 이해하기 퀴즈 PDF
2 결혼 문화 관련 어휘와 표현 익히기 퀴즈
3 결혼식에 초대받은 상황에서 적절한 행동 이야기하기 토론
7 한국의 정 문화
(Korean affection)
한국의 정 문화에 담긴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정 문화가 담긴 상황 이해 퀴즈 PDF
2 정과 관련된 어휘와 표현 익히기 퀴즈
3 다양한 상황에 나타난 한국인의 정을 이야기하기 토론
8 중간시험
9 한국인의 여가
(Leisure)
한국인의 여가 생활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한국인의 여가 생활에 대해 이해하기 퀴즈 PDF
2 여가 생활 관련 어휘와 표현 익히기 퀴즈
3 '방' 문화에 대해 의견 교류하기 토론
10 한국의 축제
(Festical)
한국의 축제 문화를 설명할 수 있다. 1 다양한 축제 이해하기 퀴즈 PDF
2 축제 관련 어휘와 표현 익히기 퀴즈
3 축제의 특징 이야기하기 토론
11 한국의 대학 문화
(College culture)
한국 대학 문화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대학 문화가 담긴 상황 이해 퀴즈 PDF
2 대학 문화 관련 어휘 및 표현 익히기 퀴즈
3 대학 문화에 대해 이야기하기 토론
12 한국의 직장 문화
(Workplace culture)
한국의 직장 문화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직장에서의 호칭 이해하기 퀴즈 PDF
2 직장 문화와 관련된 어휘 및 표현 익히기 퀴즈
3 대학 문화에 대해 이야기하기 토론
13 한국 경제 발전의 역사
(Economic history)
한국의 경제 발전의 변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1 한국의 시대별 상황 이해하기 퀴즈 PDF
2 시대별 특징 및 발전 과정과 관련된 어휘와 표현 익히기 퀴즈
3 한국의 경제 발전에 대해 이야기하기 토론
14 오늘날의 한국
(Today's Korea)
오늘날 한국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한국의 특징 이해하기 퀴즈 PDF
2 한국의 특징과 관련된 어휘와 표현 익히기 퀴즈
3 오늘날 한국의 특징과 향후 과제에 대해 이야기하기 토론
15 중간시험







이수_기준

과제명 퀴즈 토론 중간시험 기말시험 출석(강의이수)
반영 비율 10% 10% 30% 30% 20%

※ 총 60% 이상 점수 총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참여_교수

노정은 교수님

노정은 교수님

현)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한국어교육 트랙 조교수

현) 한성대학교 국제교류원 언어교육센터 한국어과정 주임교수

전) 고려대학교 기초교육원 초빙교수 등

고려대학교, 문학박사

E-mail: sada204@hansung.ac.kr

저서: 『외국인을 위한 대학 한국어』 공저(2017)

연구: 세종학당 교원중장기 재교육 체계 개발 연구(2020) 등 다수

김수종 TA

김수종 TA

현) 한성대학교 한국어 강사

한성대학교, 문학석사

E-mail: willer_s@naver.com


문의_사항

연락처 이미지

교과목/시스템 

관련 문의 

한성 K-MOOC 강좌운영팀

한성대학교 스마트원격교육센터

메일함 이미지 E-mail: hansung-kmooc@hansung.ac.kr

전화기 이미지 Phone: 02-760-4292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Subject

    Humanities
    (Linguistics & Literature)
  2.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Institution

    HANSUNG UNIVERSITY
  3.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Phone

    02-760-4292
  4.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Course Week
    (Estimated Effort)

    15week
    (주당 01시간 30분)
  5.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Accredited learning time
    (Video Duration)

    22시간 30분
    (09시간 45분)
  6.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Registration Period

    2021.11.08 ~ 2022.02.13
  7.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lasses Period

    2021.11.15 ~ 2022.02.27
  8. ※ 만족도 응답 표본 수 미달 등 일정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별점이 공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