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동아시아 지식 네트워크 속의 유학과 불교 동영상

동아시아 지식 네트워크 속의 유학과 불교




본 강좌는 새로운 K-MOOC 플랫폼에서 운영하는 강좌입니다.

강좌소개

강좌목표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여전히 유교와 불교의 정신세계, 가치관의 범주와 긴밀한 관계성 속에서 살고 있다. 본 강좌를 통해 유교와 불교의 핵심 세계관과 변화상에 대한 역사적 맥락을 탐색해볼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시대와 공간의 변화에 따라 정신적․문화적 자산이 어떤 모습과 의미로 지속 또는 단절되는지 살펴볼 수 있다.

강좌구성

이 강좌는 총 11주차(최종평가 포함)로 구성되어 있고, 강의는 10주 동안 진행된다. 각 주의 강의는 주제별로 3~5개(차시)의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차별로 학습자가 해당 주차의 학습 내용을 스스로 정리하고 확인할 수 있는 퀴즈와 토론(평가요소), 강의 내용을 보충하는 읽기자료와 참고영상 등 비영상 학습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학습자는 매주 강의 영상을 시청하고 학습활동을 마쳐야 그 주의 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된다.

홍보예시영상


강좌운영계획

강좌명

동아시아 지식 네트워크 속의 유학과 불교

교수자명

 

강좌조교

기준

관련분야 전공

석사과정 이상

인원 수

1

강의수준

 ■   전공기초 전공심화

학점인정

학점)   ■ 아니오

강의언어

 ■ 한국어 영어 기타(   )

교재

-

자막언어

 ■ 한국어 영어 수어 기타 (중국어)

주차

강의주차

시험주차

총 주차

10

1

11

학습목표

 

[강좌개요]

유교와 불교는 동아시아 각국에서 정치·사회적 기능을 수행했을 뿐 아니라 동아시아 사회의 지적·문화적 기반이었다. 그리고 한반도 역사에서 국가운영, 사회경제, 사상과 종교의 전 영역에서 깊숙이 스며있는 정신이자 생활이었고,사적 일상 판단과 선택의 기준이기도 했다. 본 강좌는 동아시아의 공통 자산이라 할 수 있는 유교와 불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의 역사적 경험과 그 고유한 특질을 조망한다.

 

[학습목표]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여전히 유교와 불교의 정신세계, 가치관의 범주와 긴밀한 관계성 속에서 살고 있다. 본 강좌를 통해 유교와 불교의 핵심 세계관과 변화상에 대한 역사적 맥락을 탐색해볼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시대와 공간의 변화에 따라 정신적문화적 자산이 어떤 모습과 의미로 지속 또는 단절되는지 살펴볼 수 있다.

 

주차

주차명

(주제)

주차별 학습 목표

차시

차시명

강좌운영방법

학습내용

수업방법

평가방법

학습자료

1

유교-

등장과 발전

유교의 등장 배경과 발전의 역사, 유학자들의 철학적 사상과 사회에 대한 비전 등 유교의 발전과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1-1

유교의 등장

강좌영상

(32×1)

퀴즈

PDF 제공

1-2

유교에 대한 이해와 역사 속의 유교

강좌영상

(28×1)

1-3

유학의 변화와 발전

강좌영상

(15×1)

2

불교와 동아시아

종교로서의 불교가 어떠한 역사적 혹은 사회적 배경 속에서 동아시아에 전파되고 정착되었는지 이해한다.

2-1

불교의 기원과 유래

강좌영상

(12×1)

퀴즈

PDF 제공

2-2

불교의 철학과 신앙

강좌영상

(18×1)

2-3

동아시아 역사 속의 불교

강좌영상

(41×1)

3

고대 한국 불교

불교가 한국 사회에 어떻게 전래 되고, 어떠한 영향력을 끼쳤으며, 고대의 사람들은 불교의 어떠한 측면을 강조했는지 한국의 역사와 연결 지어 설명할 수 있다.

3-1

고대 한국사회와 불교

강좌영상

(20×1)

퀴즈

PDF 제공

3-2

신라의 불교와 고승들

강좌영상

(28×1)

3-3

신라 말의 불교와 사회

강좌영상

(19×1)

4

고려의 불교문화

불교 문화권을 형성했던 고려 사회 속에서 불교의 위상과 사회·문화적 역할과 영향은 어떤 것이었는지, 또한 당시 고려 사회에서 불교와 유교가 어떠한 역학관계를 형성하며 존립했었는지를 이해한다.

4-1

고려의 건국과 불교

강좌영상

(20×1)

퀴즈

및 토론

PDF 제공

4-2

고려시대의 불교 문화

강좌영상

(32×1)

4-3

고려시대의 불교와 유교

강좌영상

(20×1)

5

성리학과 불교의 대립

조선의 건국 이념인 성리학과 기존에 한국 사회에서 오랫동안 영향을 끼쳐온 불교가 어떠한 상호작용을 했으며, 어떠한 갈등과 화합의 가능성이 있었는지 살펴본다.

5-1

조선의 건국과 억불정책

강좌영상

(25×1)

퀴즈

PDF 제공

5-2

유교의 비판과 불교의 대응

강좌영상

(38×1)

5-3

조선시대 불교의 위상

강좌영상

(11×1)

5-4

서산 휴정과 조선 불교

강좌영상

(10×1)

6

성리학의 정착과 유교 사회

조선시대 유교의 전반적인 특징과 성격을 개괄하며,

유교를 국가의 공식 통치 이념으로 채용한 조선시대에 나타난 사회적·제도적 변화에 대해 알아본다.

6-1

조선시대의 유교

강좌영상

(8×1)

퀴즈

PDF 제공

6-2

조선시대 의례제도-가묘를 중심으로(1)

강좌영상

(10×1)

6-3

조선시대 의례제도-가묘를 중심으로(2)

강좌영상

(10×1)

6-4

제도와 문화의 변화(1)

강좌영상

(16×1)

6-5

제도와 문화의 변화(2)

강좌영상

(27×1)

7

조선의 유교 정치

조선의 지배층이 유교라는 사상을 바탕으로 국가를 통치하고자 했다고 할 때 조선시대 유교 정치의 속성은 무엇이었으며, 유교에서의 주장들이 어떠한 모습으로 실현되고 있었는지, 조선의 정치 흐름을 이해한다.

7-1

조선의 정치구조

강좌영상

(13×1)

퀴즈

PDF 제공

(읽기자료제공)

 

7-2

대간과 공론정치

강좌영상

(21×1)

7-3

조선시대 유교적 정치관

강좌영상

(40×1)

8

유교의 전파와 교화

조선의 일반 백성에게 유교 기반의 통치는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었는지 알아보고, 기존 대중들의 생활 양식에 변화를 일으키고자 했던 지배층들의 노력에는 어떠한 목적이 담긴 것이었는지를 확인한다.

8-1

유교문화 전파의 일면

강좌영상

(20×1)

퀴즈

및 토론

PDF 제공

8-2

삼강오륜의 강조

강좌영상

(18×1)

8-3

유교와 대중교화

강좌영상

(38×1)

9

유교적 가치의 사회·

문화적 의미

유학을 바탕으로 한 지배층들의 교화 노력은 백성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졌으며, 백성들은 그들의 의도를 어떤 식으로 수용하고 그 수용방식이 초래한 변화의 결과는 무엇이었는지 살펴본다.

9-1

효의 강조와 전파

강좌영상

(12×1)

퀴즈

PDF 제공

(읽기자료제공)

9-2

삼년상 이행의 추이와 그 의미

강좌영상

(39×1)

9-3

유교, 사회, 정치

강좌영상

(26×1)

10

19세기 이후의 유교와 불교

유교와 불교가 서구 사회의 문명과 철학을 맞이했을 때의 반응과 영향을 살펴본다.

근대 이행기 속에서 동아시아 구성원들이 유교와 불교라는 종교 철학들의 영향력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이해한다.

10-1

유교와 가톨릭의 대립

강좌영상

(40×1)

퀴즈

및 토론

PDF 제공

10-2

19세기 이후 역사 속의 유교

강좌영상

(27×1)

10-3

19세기 이후 한국 불교의 변화와 발전

강좌영상

(14×1)

11

최종평가

학습한 내용을 종합하여 성찰하고 점검하여, 최종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

11-1

보고서 작성

(주제 관련 자율 현장답사)

보고서

현장답사보고서

상호 토론글 공유

11-2

상호간 토론글 공지

게시판 활용

11-3

수업 감상 남기기

게시판

활용


강좌운영진 소개

교수자

허준 professor
허준 교수
연세대학교 강사
허준, 2019, 『The State and Identity Construction in Chosǒn
Korea』, California State University 박사논문
허준, 2020,「조선 전기 공동체 정체성의 형성」『한국학연구』 56

강좌지원팀

staff
이상원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사학과 석사과정

강좌수강정보

이수평가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퀴즈 토론
반영비율 60% 40%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선수과목


참고문헌

강의 교안 PDF 제공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Subject

    Humanities
    (Human Sciences)
  2.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Institution

    Yonsei University Mirae Campus
  3.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Phone

    -
  4.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Course Week
    (Estimated Effort)

    11week
    (주당 03시간 00분)
  5.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Accredited learning time
    (Video Duration)

    30시간 00분
    (11시간 45분)
  6.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Registration Period

    2023.04.17 ~ 2023.07.08
  7.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lasses Period

    2023.04.24 ~ 2023.07.15